목차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강화
국내 항공사를 이용할 때 보조배터리를 위탁수하물로 넣는 것이 전면 금지되고, 반드시 승객이 기내에 직접 소지해야 한다는 새 규정이 마련되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의 원인으로 보조배터리가 유력하게 지목된 데 따른 조치로 보입니다. 최근 보조배터리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화재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고 탑승객 안전을 강화하는 취지입니다.

강화된 보조배터리 관리 방안
1. 위탁수하물 반입 금지
보조배터리를 수하물로 보내지 못하며, 반드시 기내 반입해야 합니다.또한 기내 선반에도 보관되지 않으며 승객이 직접 들고 있던가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2. 안전 포장 의무화
기내에서도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절연테이프로 감싸거나, 투명 비닐봉지·보호 파우치 등에 따로 보관해야 합니다.
3. 용량 및 개수 제한
100Wh 이하(와트시)의 보조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최대 5개까지 가지고 탑승할 수 있습니다. 160Wh 이상인 경우 기내 반입이 불가능하므로, 출국 전 배터리 용량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보조배터리가 화재 사고 위험
보조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니고 있어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사용·보관 환경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내부 합선이 일어나면 발화·폭발 위험이 커집니다.
최근 국내 항공사에서 보조배터리 관련 안전관리를 강화한 것도 이 같은 이유이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에서도 리튬배터리에 대한 안전 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용 시 주의사항
1. 배터리 용량 체크
항공사에 따라 기내 반입 제한 용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Wh(와트시)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안전 포장
비닐봉지나 절연테이프로 배터리 단자를 감싸 화재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3. 사전 준비
체크인 시, 혹시 모를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항공사 안내문을 확인해두면 도움이 됩니다.


이번 조치는 현재 우리 국적 항공사(국내 항공사)에 한정됩니다. 다만, 보조배터리와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확정적으로 밝혀지면, 정부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제도 변경을 건의해 외국 항공사까지 안전관리 대상을 확대할 것으로 예고하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국내외 이동이 활발해지고 여행객이 많아지는 추세에서, 보조배터리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것은 탑승객과 승무원의 안전을 지키는 기본 단계입니다.


탑승 전 보조배터리 용량을 확인하고, 포장을 철저히 하여 사전에 화재 위험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모두가 보다 안전한 항공 여행 문화를 누릴 수 있길 바랍니다
기내 반입 금지 물품 총정리
기내 반입 금지 물품 전자담배 보조배터리 화장품 라이터
관세청은 7월 22일부터 8월 11일까지 휴가 성수기를 맞아 면세범위를 초과하는 물품과 반입 제한 물품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해외여행을 떠나시는 분들은 공항 기내 반입 금지...
alldogam.tistory.com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크족 뜻 어원 총정리 (+ 딩크족이란? 차이점) (0) | 2025.03.09 |
---|---|
언더커버 뜻 어원 총정리 (+ 언더커버 영화) (0) | 2025.03.08 |
경칩 날짜 뜻 어원 한자풀이 (0) | 2025.02.23 |
파시스트 뜻 어원 총정리 (0) | 2025.02.07 |
딥시크(DeepSeek) R1, V3 챗gpt 위협 (0) | 2025.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