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학

언어학의 역사

by 블리네 2024. 4. 13.

언어학-역사
언어학

 

언어학 개요

언어학은 과학적으로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것은 어떻게 언어가 발생하고, 변화하고, 사용되는지에 대한 학문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인간이 어떻게 "어떻게" 그리고 "왜" 언어를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즉 "언어 능력"입니다. 언어학은 일반적으로 인문학으로 분류되지만, 과학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논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언어학 역시 언어학을 과학으로 분류하고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합니다. 모든 언어학 교과서에서 언어학의 정의에서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한다'는 문구가 빠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특히 '관찰 → 가설 설정 및 수정 →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언어학의 방법론은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고 있습니다.

 

언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언어학' 내부의 여러 이론들은 같을 뿐 방법론에 있어서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극단적인 것을 예로 들면, 극단적인 것과 역사적인 비교언어학의 한쪽에는 촘스키의 생성문법이 있습니다.

 

생성문법은 형식적이고 합리적인 것('경험적'의 반대되는 의미)이 많으며, 강력한 최소 이것(SMT)의 공리를 중심으로 하는 연역적 방법론으로 이론화되었습니다. 반면, 현대 언어학의 가장 오래된 한 분야인 문헌학과 20세기 이후 문학의 계보를 이어오고 있는 비교역사 언어학은 실증주의의 극단입니다.

 

소리의 변화 경향에 대한 연구와 언어체계의 규명은 비교역사언어학의 본질로서, 모두 고서적 자료의 말뭉치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2024.03.30 - [우주학] - 물리학의 이해

언어학의 역사

서양의 대부분의 근대학문이 '철학', 즉 고전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일찍부터 언어학만이 별도의 학문으로 정립되어 '철학'과 '그라마티케'라는 이름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현대 언어학에서는 현대의 분석철학, 특히 언어철학과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며 의미론과 실용주의가 발전했습니다.

 

서양 언어학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18세기 이전까지 이어져 왔으며, 19세기에 확립된 고전 문법, 19세기 비교언어학, 20세기 초 구조주의 언어학, 20세기 중후반 생성언어학 등이 그 예입니다. 구조주의 언어학의 대표적인 학자인 페르디난트 드 소셔는 언어학 연구에 큰 공헌을 하였고, 이후 언어학의 개념인 랑어와 파롤, 표기법과 기호법, 시험법과 관습법을 발전시켰습니다.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는 소쉬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학교들이 등장했습니다. 유럽 쪽에서는 트루베츠코이, 로만 제이콥슨, 옐름슬뢰 등의 학자들이 소쉬르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유럽식 구조주의를 발전시켰고, 미국 쪽에서는 블룸필드와 사피르가 북미 원주민 언어 연구를 통해 구조주의 언어학을 이어갔습니다.

 

이러한 명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론언어학에서는 음운론의 구조주의적 관점을 따르는 연구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기본적으로 공백상태를 전제하고, 상황의 패러다임으로부터 구조와 형태를 도출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 결과 물리적 실체인 목소리는 음성학에서,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인 기능심리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심리학에서 설명됩니다. 오늘날의 구조주의 추종자들은 더 이상 구조주의자라고 부르지 않지만, 촘스키주의자와 같은 외부인들은 그들을 '블룸필드의 추종자'라고 부릅니다.

 

그들은 스스로를 '실증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합니다. 1950년대 이후 노름 촘스키가 제안한 생성적 문법은 당시까지의 미국 구조주의 언어관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생성적 언어학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언어 능력인 보편적 문법을 이상적 정당성에 따라 상정하여 인간 언어의 기본 규칙을 찾고자 했습니다. 생성언어학의 연구는 구조언어학에서 언어현상을 연구하는 귀납적 방법에 비해 연역적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또한 구문론이 언어학의 핵심 분야로 부상했습니다.

'우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학의 경이로움  (0) 2024.04.19
지구과학의 범위  (0) 2024.04.14
물리학의 이해  (0) 2024.03.30
천문학의 중요성  (0) 2024.03.10
천동설 기원과 역사  (0) 2024.02.16